평균임금 뜻 계산기 방법 수당 퇴직금 실업급여
고용노동부의 2024년 통계자료에 따르면, 퇴직금 산정의 90% 이상이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산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실업급여와, 휴업수당, 재해보상 등 다양 분야에서도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적용 중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근로자들이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해 불이익을 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근로기준법 제19조에 근거하여 평균임금의 뜻과 적용되는 급여 및 수당, 통상임금과 차이, 계산방법, 제외되는 기간 및 임금, 유의할 판례 사례, 평균임금 계산기등을 포스팅합니다. 1. 평균임금 뜻평균임금은 일정기간에 지급된 임금의 평균금액으로, 퇴직 등 특정 사유가 발생하기 전 3개월간 지급된 총임금을 해당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1일당 금액을 말합니다.이는 단순한 평..
2025. 4. 10.
통상임금 뜻 수당 계산기 연장 야간 휴일 출산 육아급여
최근 고용노동부 통계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상시근로자 5인 이상 사업장의 평균 임금은 약 373만 원입니다. 한편 2025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030원으로 인상되면서, 법정수당 계산 기준인 「통상임금」에 대해 관심이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 반드시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할 개념인 「통상임금」의 뜻과 구성,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의 차이, 기준이 되는 수당, 포함되는 수당, 제외되는 수당, 통상임금 계산기등을 자세하게 설명드립니다.1. 통상임금 뜻통상임금이란 근로자에게 정기적이고, 고정적이며 일률적으로 지급되는 임금을 뜻합니다.이는 기본급뿐만 아니라 일정한 조건을 갖춘 고정 수당까지 포함합니다.또한, 통상임금은 각종 법정수당인 시간외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연차수당, ..
2025. 4. 9.